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트비히 3세

덤프버전 :





루트비히 3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야전원수
Generalfieldmarschall
파일:DR_Generalfeldmarschall_1918.gif
육군
야전원수
프란츠 요제프 1세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빌헬름 2세 | 뷔르템베르크의 빌헬름 2세 |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 카를 폰 뷜로 |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 프리드리히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대공 | 메흐메트 5세 |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 루트비히 3세 | 페르디난트 1세 | 카를 1세 | 콘스탄티노스 1세 | 레무스 폰 보이르슈
해군
원수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헤닝 폰 홀첸도르프 | 빌헬름 2세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상급대장
Generaloberst

파일:KHeer_OF9_GenOberst_(Bayern)_1918.gif
육군
상급대장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 | 모리츠 폰 린커 |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 알렉산더 폰 클루크 | 루트비히 폰 팔켄하우젠 | 막스 폰 하우젠 | 알렉산더 폰 린징겐 | 구스타프 폰 케셀 | 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 요시아스 폰 헤링겐

명예원수 베른하르트 3세 | 명예원수 한스 폰 플레센 | 명예원수프리드리히 2세
병과대장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General_(Wurttenburg).gif
육군
병과대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보병 | 에른스트 루트비히 카를 알브레히트 빌헬름보병 | 에리히 루덴도르프보병 | 로타르 폰 트로타보병 | 에른스트 폰 회프너기병 | 콘라트 크라프트 폰 델멘징엔포병 | 오스카 폰 후티어보병 | 오이겐 폰 팔켄하인기병 |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보병 |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기병 | 막시밀리안 폰 바덴기병 | 빌헬름 폰 우라흐기병 | 프리드리히 식스트 폰 아르민보병 | 카를 에두아르트보병 | 오토 폰 벨로보병 |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보병 | 프리드리히 빌헬름 빅토르 아우구스트 에른스트보병 | 헤르만 폰 슈타인포병
해군
대장
후고 폰 폴 | 라인하르트 셰어 | 프란츠 폰 히퍼 | 루트비히 폰 로이터
중장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육군
중장
콘스탄틴 폰 알트록 | 카를 폰 베닝거 | 헤르만 폰 쿨 | 빌헬름 그뢰너 | 프리드리히 폰 작센마이닝겐 | 게오르크 그라프 폰 발더제
해군
중장
막시밀리안 폰 슈페
소장
Generalmajor / Konteradmiral
육군
소장
한스 폰 젝트 | 막스 호프만 | 프리츠 폰 로스베르크 | 카를 하우스호퍼 |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 게르하르트 타펜 | 뤼디거 폰 데어 골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제국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바이에른 왕국 제6대 국왕
루트비히 3세
Ludwig III
파일:Kingludwig3bavaria.jpg
이름루트비히 레오폴트 요제프 마리아 알로이스 알프레트
(Ludwig Leopold Joseph Maria Aloys Alfred)
출생1845년 1월 7일
독일 연방 바이에른 왕국 뮌헨
사망1921년 10월 18일 (향년 76세)
헝가리 왕국 사바르
재위바이에른 왕국의 왕
1913년 11월 5일 ~ 1918년 11월 7일
배우자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 테레제[1]
(1868년 결혼 / 1919년 사망)
자녀루프레히트, 아델군데, 마리아, 카를, 프란츠, 마틸데, 볼프강, 힐데가르트, 노부르가, 빌트루트, 헬름트루트, 디틀린데, 건델린데
아버지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
어머니오스트리아의 아우구스테 페르디난데[2]
형제레오폴트, 테레제, 아르눌프
종교로마 가톨릭

1. 개요
2. 생애
3. 후손



1. 개요[편집]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


2. 생애[편집]


바이에른의 섭정을 역임한 루이트폴트 왕자토스카나의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 부부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자신의 사촌인 오토 국왕이 정신 질환으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면서 그의 아버지인 루이트폴트가 섭정 역할을 수행했으며, 1912년에 루이트폴트가 사망한 이후에는 루트비히 본인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바이에른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다가 1913년 11월 4일에 바이에른 왕국의 헌법이 개정됐는데, 국왕이 국정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10년 이상에 걸쳐 지속된 경우에는 섭정이 새 국왕으로 즉위할 수 있다는 조문이 추가된 것이다. 그에 따라 오토는 폐위되었으며, 루트비히는 섭정에서 국왕으로 신분이 올라가 루트비히 3세로 즉위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가 즉위한 지 불과 5년 후인 1918년에 바이에른 왕국이 속해 있던 독일 제국독일 11월 혁명으로 무너졌으며, 그에 따라 바이에른 왕국을 포함한 독일 제국의 구성국들이 모조리 멸망하고 말았다. 그에 따라 루트비히 3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 되었다. 그 해 11월 13일에 루트비히 3세는 제1차 세계 대전의 항복 문서에 독일 제국 대표로 서명했다.

이듬해인 1919년에는 리히텐슈타인의 수도인 파두츠를 거쳐 헝가리로 망명했으며, 2년 후인 1921년에 그 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3. 후손[편집]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사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가 4남 9녀에 달했고, 그 중 장성한 것은 3남 7녀였다.

현재 그의 친증손자인 프란츠 폰 바이에른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 역할을 하고 있다. 프란츠에게는 자녀가 없으므로 남동생인 막스가 후임 수장이 될 예정이다. 그러나 막스 또한 딸만 5명이고[3] 아들이 없으므로, 비텔스바흐 가문의 살리카법이 폐지되지 않는 한 프란츠와 막스의 육촌형제인 루이트폴트[4]가 막스의 뒤를 이어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3:51:46에 나무위키 루트비히 3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모데나 레조 공국의 마지막 공작 프란체스코 5세의 조카, 알폰소 12세의 왕비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이부언니다.[2]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도 2세의 장녀다.[3] 그 중 장녀가 리히텐슈타인의 공세자비이다.[4] 루트비히 3세의 3남 프란츠 왕자의 손자다. 루이트폴트의 어머니가 프란츠와 막스의 고모이기 때문에, 프란츠와 막스의 고종사촌이기도 하다.